제목을 어떻게 적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내용은 그냥 혼잣말 내지 질문 정도가 되겠는데...

일단 제가 테스트로 VM을 3대 생성했습니다. 스펙은 전부 동일하고 서버 2008 R2입니다.

ADDC - snoopy.com 도메인 컨트롤러
MSCS01 - DB서버 1번
MSCS02 - DB서버 2번

그런데 Failover 클러스터를 구성한 다음 MS-SQL 2008 R2를 설치하는데, 계정을 넣는 부분이 있습니다. 거기에 제가 로컬 시스템 (NT AUTHORITY\SYSTEM) 계정을 넣으면 오류가 발생하더군요. 도메인 계정을 넣어야 한다고 문구가 나와서 어쩔 수 없이 도메인 Administrator 계정을 넣고 SQL 설치를 진행하긴 했습니다만...

그래서 일단 구성은 이렇게 되었습니다. 아래 녀석이 MSCS01 - DB서버 1번이고 현재 Active 상태입니다.


서비스에 들어가보면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설치시 도메인 Administrator 계정을 넣었기 때문에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Standby 서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도메인 Administrator 계정으로 SQL 서버가 돌아가도록 되어 있는데...



제가 이 실험을 하게된 이유는 바로... 서비스가 특정 계정에 Depend 하는게 싫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그 특정 계정의 패스워드가 변경된 경우 서비스가 올라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예전에 얼핏 서버 2008부터는 Failover 클러스터 구성시 서비스를 도메인 계정으로 돌리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기 때문에 직접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실험 내용은 별거 없고, 위 상태에서 Standby 서버의 SQL 서비스들을 전부 로컬 시스템으로 변경한 후, Active 서버를 재부팅 시켜버렸을 때 정상적으로 Standby 서버가 클러스터 디스크와 SQL 서비스 소유권을 가져오냐는 것입니다. 즉 장애발생시 정상적으로 Failover가 되는지 테스트해본 것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Failover 잘 됩니다.

Standby 서버의 SQL 서비스들을 전부 로컬 시스템 계정으로 돌려놨구요


1번 서버를 재부팅하니 2번 서버가 Active 상태로 잘 올라온 모습입니다.


물론 이상태로 1번 서버의 SQL 서비스 계정도 전부 로컬 시스템으로 변경하고, 2번 서버를 재부팅 했을 때 역시나 정상적으로 Failover가 잘 되었습니다. 몇번 반복해서 재부팅을 해봤는데도 서로 넘겨주기를 잘 하더군요.

아무튼 일반적으로 Failover 클러스터 구성시 SQL 서비스는 도메인 계정으로 돌아야 한다고들 알고 계실 것인데, 위 실험 내용처럼 2008 이상에서는 로컬 시스템 계정으로 돌려도 클러스터 구성에 문제가 없는지 (위 실험에선 문제가 없었는데) 혹시 여기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이 있다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사족인데 2008부터는 Failover 클러스터 구성시 Heartbeat 네트웍이 필요 없더군요. 위 실험에서도 실제로 따로 Private 네트웍을 구성해주지 않았고, VM이니까 당연히 뭐 Cross Cable 같은 것도 없었습니다. 아래 MS 문서를 보시면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258750

이 문서의 정보는 Windows Server 2008 또는 Windows Server 2008 R2 장애 조치 클러스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버전의 장애 조치 클러스터링에서 이러한 권장 지침을 구현할 경우 부정적인 동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08 및 Windows Server 2008 R2 장애 조치 클러스터는 개인 하트비트 네트워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 문서에 제시된 네트워킹 설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원치 않은 동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필드에 계신 분들이 주로 2003 기반의 클러스터를 많이 다루시다보니 2008에서 달라진 부분들에 대해서는 조금 약하신 것 같더군요. 그래서 2003에서 구성하던 습관대로 2008에서도 Heartbeat 케이블링 작업하고, 서비스를 무조건 도메인 계정으로 로그온 시키시던데, 적어도 위 실험에선 잘 되었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위 실험에 문제되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